본문 바로가기

3D 프린터 ATOMOS300/3D프린팅

3D 프린팅 속도와 출력 품질과의 상관 관계...

4차 산업을 선도 해야되는 3D 프린터


모든 3D 프린터 유저들은 빠른 출력 속도에 대해 갈구 하고  있습니다.


기성 제품중에는 굉장한 출력 스피드를 갖는 제품도 있지만... 


과연 그러한 출력 스피드로 멜팅된 필라멘트를 제대로 적층이 가능 할지 의문 입니다.





위 영상들은 유튜브에서 발췌 하였는데... 각자 주장하는 속도를 비교 해보시기 바랍니다.


350과 750은 거의 두배 이상 빨라야 하는데 제가 보기엔 비슷 합니다. 오히려 더 느림니다.


왜냐 하면 펌웨어 마다 다르긴 하지만 보통 제한을 걸어 80~120mm/s이 최대 이기 때문 입니다.


(이 리미트는  G-cord를 추출하는 슬라이서 프로그램에도 있습니다.)


솔직히 이 이상의 속도에서는 기존 필라멘트 재료역시 멜팅의 시간적 여유가 없으므로 잘 안나오게 되겠지요.


또 사용되는 스텝 모터의 탈조를 염려 안 할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스피드에 제한을 두고 있지요.


출력속도는


앞으로 3D프린터 제작자 뿐아니라 필라멘트 제조자 까지 합심하여 풀어야할 숙제 이지요.


프린터 제작자는  하드웨어적으로 빠른 스피드를 견디어 줄 견고한 프레임과 가벼운 헤드,그것들의 발란싱까지 고려 하여


하드웨어 설계를 해야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론 각축 모터의 섬세한 악셀링 콘트롤을 실현 하여 관성을 극복 해야  합니다.


필라멘트 역시 빠른 스피드 에서도 멜팅과 적층이 잘 될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아래 영상은 아토모스300(ATOMOS)의 40~60mm/s의 출력 속도 입니다.



저는 보통 제가 출력하는 40~60mm/s를 편집했는데 750mm/s 라면  이 영상보다 10배이상 빨라야 하는데...


그렇게 보이시나요??? ㅎㅎ


영상중에 있는 "Tolerance test block" 입니다.

0.2mm의 Gap 까지 소화 합니다.

기어


영상속에서 손으로 뺑뺑이 돌리던 플레네터리 기어 입니다.

다른 색 출력 입니다.

고무줄 런칭 글라이더

요즘 유행 하는 피젯 스피너 입니다.



위 영상은  속도별  적층되는 모습을 적나라 하게 보여 주고 있습니다.


3D 프린팅 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